종합소득세 가이드 2025
종합소득세 가이드 2025
신고·납부 기한, 성실신고확인, 개인지방소득세(연계신고), 세율·분납·가산세, 3분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
I. 종합소득세 신고·납부 - 왜 중요한가?
종합소득세는 전년도(2024년) 귀속 이자·배당·사업(임대 포함)·근로·연금·기타소득을 합산해 다음 해에 신고·납부하는 세금입니다. 2025년 정기 신고·납부기간은 5월 1일(목)~6월 2일(월)이며,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6월 30일(월)까지입니다(개인지방소득세도 동일 원스톱 연계). 공적 안내에 근거한 기한 준수는 가산세·이자 부담을 예방하고, 각종 공제·감면을 정확히 반영해 과·소납부를 막습니다.
• 신고·납부: 2025.05.01~06.02 (성실신고확인: 06.30)
• 홈택스 신고 후 ‘지방소득세 신고이동’으로 위택스 연계 신고
• 개인지방소득세: 원칙적으로 국세 신고와 함께 납부(지방세법·행안부 안내)
• 분납: 국세는 세액 1,000만원 초과 시, 지방세는 100만원 초과 시 가능(기한+2개월 이내)
• 납부지연가산세: 미납세액 × 일수 × 0.022% (국세 기준)
II. 기본 개념 한눈에 보기
1) 무엇을 ‘종합’하나?
구분 | 내용 | 근거 |
---|---|---|
종합 대상 소득 | 이자·배당·사업(부동산임대 포함)·근로·연금·기타 | 국세청 개인신고안내(기본정보) |
신고 면제 주요 사례 | 근로소득만 있고 연말정산을 마친 경우 등 일부 면제(예외 존재) | 국세청 개인신고안내(면제 요건) |
신고·납부 기한(2025) | 정기 5/1~6/2, 성실신고확인 6/30 | 행안부·정부 공식 카드뉴스 |
개인지방소득세 | 홈택스 신고 완료 → ‘지방소득세 신고이동’ 클릭으로 위택스 연계 신고 | 정부 정책브리핑·행안부 안내 |
2) 세율(국세·종합소득세)
2024년 귀속(2025년 신고) 종합소득세 누진세율 구조는 국세청 고시 세율을 따릅니다(6%~45%, 누진공제 적용).
3) 개인지방소득세
개인지방소득세(종합소득분)는 국세 신고와 연계해 각 자치단체에 신고·납부합니다. 실무상 소득세액의 10%를 기준으로 안내하는 지자체가 다수이며(특별징수는 원천세의 10%), 전자신고는 홈택스→위택스 연계로 처리합니다.
III. 3분 신고·납부 가이드(단계별)
① 준비 (약 1분)
- 공동·금융·플랫폼 자료 확인: 카드매출, 현금영수증, 지급명세(3.3%), 이자·배당 내역.
- 필요경비 증빙 정리: 세금계산서/신용카드·현금영수증, 급여·임차료, 감가상각 등.
- 공제항목 점검: 기부금, 보험료, 연금저축, 주택자금 등.
② 신고 (약 1분)
- 홈택스 접속 → 종합소득세 신고(모의계산/정기신고·모두채움).
- 제출 후 ‘신고내역조회(접수증)’에서 지방소득세 신고이동 클릭 → 위택스 자동 연계.
- 모두채움 안내문 수령자는 ARS/가상계좌 납부 시 신고 인정(세액 변동 시 연계신고 필요).
③ 납부 (약 1분)
- 국세(종소세)·지방세(개인지방소득세) 각각 납부 완료 확인.
- 분납 활용: 국세는 세액 1,000만원 초과 시, 지방세는 100만원 초과 시 법정기한 경과 후 2개월 내 분할 납부 가능.
- 성실신고확인 대상자는 6/30까지 확인서 제출·납부.
1) 2025년 신고·납부: 5/1~6/2(성실 6/30).
2) 홈택스 신고 후 위택스로 연계해 개인지방소득세 제출.
3) 국세 분납: 1천만원 초과(최대 50%), 지방세 분납: 100만원 초과.
4) 납부지연가산세(국세): 일 0.022% 적용, 지연 주의.
5) 성실신고확인 비용 60% 세액공제(개인 한도 120만원).
IV. 자주 틀리는 포인트 7
- 개인지방소득세 누락 → 홈택스 신고만 하고 지방세 신고·납부를 빼먹는 사례 다수. 반드시 연계해 마무리.
- 분납 기준 혼동 → 국세(1,000만원 초과), 지방세(100만원 초과). 분납분 기한은 ‘법정기한+2개월’.
- 모두채움 안내 오해 → 안내문 세액 그대로 납부 시 신고 인정되지만, 세액 변동 있으면 연계신고로 정정 후 납부.
- 성실신고확인 기한 → 기본 6/30. 확인서·세액공제 요건(60%, 개인 120만원 한도) 체크.
- 가산세 구조 → 무신고 20%, 과소 10%(부정 40%), 납부지연 일 0.022% 별도 부과.
- 3.3% 원천징수 = 신고 면제? 아님. ‘기납부’일 뿐, 합산 신고로 정산 필요.
- 세율/누진공제 적용 오류 → 2024년 귀속 최신 구간·누진공제 확인 필수.
V. 절약·효율 팁
성실신고확인 비용 세액공제
확인 비용의 60%를 소득세에서 공제, 개인 120만원 한도. 과소신고(10% 이상) 경정 시 추징 위험.
분납·현금흐름 관리
국세 1천만원↑, 지방세 100만원↑면 분납 선택. 납부지연 일 0.022% 가산세가 이자보다 비쌀 수 있음 → 기한 내 최소액 납부 전략.
중간예납 유의
매년 11월 말 전후 중간예납 고지. 세액 1천만원↑는 분납 가능(사례별 고지 참조). 추계액 신고로 현금흐름 조정 검토.
연계신고 자동화
홈택스 신고 후 ‘지방소득세 신고이동’으로 위택스 자동 연계 → 이중 입력·누락 방지.
VI. 체크리스트 & FAQ
체크리스트
- 🗓 신고·납부 기한 확인(정기 5/1~6/2, 성실 6/30).
- 🧾 지급명세·매출·경비 증빙 일치 검토.
- 🔗 홈택스 제출 → 위택스 연계 제출 완료.
- 💳 분납 기준·기한(국세/지방세) 확인.
- 🧮 최신 세율·누진공제 적용 여부 검토.
- ✅ 성실신고확인서/세액공제 적용(해당자).
- 📑 접수증·납부영수증 보관.
Q1. 연말정산만 했습니다. 종소세 신고 필요 없나요?
A. 원칙적으로 면제 가능하나, 2곳 이상 근로, 기타소득 등 예외 시 확정신고 필요(국세청 안내 참조).
Q2. 프리랜서 3.3% 뗐는데 끝인가요?
A. 아니요. 연간 소득 합산 신고로 최종세액을 정산해야 환급·추가납부가 확정됩니다.
Q3. 분납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A. 국세: 세액 ≤2천만원이면 1천만원 초과분, >2천만원이면 50% 이하 금액을 기한+2개월 내 분납. 지방세: 100만원 초과 시 2개월 내 분납.
Q4. 가산세는 얼마나 붙나요?
A. 무신고 20%, 과소 10%(부정 40%), 납부지연은 일 0.022%(국세 기준). 지방세도 유사 구조 운영.
Q5. 성실신고확인 대상은 언제까지?
A. 6월 30일까지 확인서 제출·납부. 확인 비용 세액공제(60%, 개인 120만원 한도) 확인.
VII. 내부·외부 링크
- 국세청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: 바로가기 ↗
- 위택스 개인지방소득세 안내: 바로가기 ↗
- 국세청 종합소득세 세율표: 확인 ↗
- 성실신고확인 제도·세액공제: 확인 ↗
- 정부 공식 카드뉴스(개인지방소득세·종소세): 2025년 안내 ↗
참고 자료·교차 검증
핵심 수치·기한은 최소 2개 이상의 독립 출처로 확인했습니다. 상충 시 보수적 진술을 적용했습니다.
- 국세청 개인신고안내(종합소득세·면제사유)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국세청 종합소득세 세율(2023~2024 귀속)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화면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정부 카드뉴스(2025년 5/1~6/2, 성실 6/30): 링크 / 행안부 공지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정부 정책브리핑(홈택스→위택스 연계·모두채움)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행안부·지자체 안내(개인지방소득세 분납 100만원 초과, 2개월 내): 링크 / 강남구 카드뉴스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국세 분납(중간예납 사례·기준 1천만원 초과): 링크 / 국세청 공식 안내(소셜)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납부지연가산세(국세) 일 0.022% 공식식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성실신고확인 비용 세액공제(60%, 개인 120만원 한도): 링크 / 법정 서식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- 개인지방소득세 개요·특별징수 10%: 위택스 / 서울시 eTAX(소득세액의 10% 안내): 링크 (접근: 2025-08-18)
교차 검증 메모
- 신고·납부 기한: 행안부(2025년 공지)와 정부 카드뉴스로 상호 확인.
- 분납 기준: 국세(중간예납·국세청 안내)와 국세청 공식 소셜로 확인. 지방세는 정책브리핑·지자체 카드뉴스로 확인.
- 납부지연가산세: 국세청 안내(법인세 페이지지만 ‘납부지연가산세’ 일반식 동일)로 일 0.022% 검증.
- 성실신고확인 세액공제: 국세청 제도 안내와 법정 서식으로 한도·율 재확인.
검증 상태: 최신 공지·제도 페이지 기준으로 확인. 법·시행령 개정 시 변동 가능 영역: 세율 구간, 공제한도, 납부편의 제도 → “업데이트 필요” 표기 대상 없음(2025-08-18 기준).